똑똑똑, 문화예술 사회적경제의 모든 것
상태바
똑똑똑, 문화예술 사회적경제의 모든 것
1월 31일 공공그라운드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실태 및 지원방향' 보고서 공유회 개최
  • 2020.02.04 11:42
  • by 전윤서 기자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조직은 어떤 형태이고 그들은 어떤 것에 관심이 있고 또한 어떤 것이 필요할까? 바로 그 목소리를 들어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 1월 31일 공공그라운드 001스테이지에서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실태 및 지원방향" 공유회가 개최됐다. ⓒ라이프인

지난 1월 31일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최하고 예술경영지원센터, (주)메이븐스퀘어가 주관한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실태 및 지원방향' 공유회가 공공그라운드 001스테이지에서 개최됐다.

첫 번째 세션은 (주)메이븐스퀘어가 실시한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조직 실태조사 결과" 발표로 시작됐다. 이번 실태조사는 문화예술 분야의 사회적경제 조직 대상으로 진행한 첫 전수조사였기 때문에 그 의의가 남다르다.

2018년 기준으로 ▲인증사회적기업 ▲예비사회적기업(지역형, 부처형) ▲(사회적)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소셜벤처 등 1,350개의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조직이 대상이다. 조사 실기 기간은 지난해 10월 7일부터 12월 13일까지 약 2개월 가량 진행됐다. 기본현황에 응답한 조직은 949개(응답률 70.3%)이며, 주요현황에 응답한 조직은 745개로 집계됐다.

 

■ 문화예술 사회적경제조직, 그 형태는?

전체 사회적경제조직 22,580개 중 문화예술 분야 사회적경제 조직은 1,350개(6.0%)이다. 이중 협동조합 유형이 46.9%로 다수를 차지했다. 이어서 사회적기업 38.0%, 소셜벤처 8.6%, 마을기업 5.8%, 자활기업 0.7% 순으로 많았다. 주요 활동 장르는 공연예술(30.0%), 시각예술(20.0%)로 집계됐다.

조직이 해당 유형을 선택한 이유로는 "설립목적 실현에 부합해서"가 공통요인인 가운데 "공익적 목적과 성격이 강해서"(사회적협동조합, 자활기업), "지원사업 선정 가능성이 높아서"(마을기업), "인정ㆍ지정ㆍ등록 절차의 간편성"(일반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소셜벤처), "네트워크 형성에 도움"(소셜벤처) 등은 차별적 선택요인으로 지적됐다.

주요 사업 분야는 예술기획ㆍ제작, 문화예술교육, 축제ㆍ행사 기획 및 대행, 예술창작 분야이다. 향후 사업 확대를 희망 분야는 예술컨설팅, 유통플랫폼, 연구조사, 예술가 매니지먼트(management)분야로 조사됐다. 반면에 전통공예ㆍ문화유산, 출판ㆍ디자인ㆍ인쇄 사업은 공급이 위축될 것으로 전망됐다.

▲ (주)메이븐스퀘어 조재현 이사가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조직 실태조사 결과"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라이프인

■ 먹고 살 만한가?

2018년 기준 정규직 4.6명, 비정규직 2.6명으로 총 7.2명 평균 종사자 수로 집계됐으며 소셜벤처는 평균 10.1명의 비정규직 인원을 포함해 총 16.7명으로 가장 많은 인원을 고용하고 있었다.

인증사회적기업을 기준 월평균 소득을 살펴봤을 때, 2010년 101만 원에서 2018년 185만 원으로 증가했다. 2018년 기준 연간 총매출액은 평균 27,017만 원으로 전년 대비 9.3%의 플러스 성장을 이루었다. 연간 총매출액을 2017년도와 비교하자면 1천만 원~5천만 원 미만 매출액은 감소하였으나 5억 원 이상 매출 비율은 소폭 증가해 매출액이 높은 기업이 소폭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1인당 평균 매출액은 인증 사회적기업(4,870만 원), 사회적협동조합(3,902만 원), 지역형예비사회적기업(3,650만 원)을 기록했다. 상위 25% 이상의 1인당 매출액은 10,283만 원으로 중위 25%~50% 미만 매출액이 3,550만 원과 비교해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지원은 이렇게 부탁할게요.

조직 유형별 자금조달은 정부 보조금이 2018년 기준 평균 5,154만 원으로 전년 대비 2.6%증가된 84.5%를 차지했다. 특히, 소셜벤처는 정부 보조금 증가와 더불어 투자금과 기부ㆍ후원금 모두 증가세를 보였다. 자금 조달과 관련해 ▲재무성과 입증에 대한 어려움 ▲정보 부족 ▲과다한 서류 제출 ▲사회적 성과 입증에 대한 어려움 등을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지원사업 중 일자리 창출 인건비 지원, 사업개발비 지원, 전문인력 인건비 지원 등 경제적 지원 분야 지원에 대해 높게 평가하는 반면 교육, 컨설팅과 같은 비경제적 지원에 대한 평가는 낮았다. 차후 지속적인 경제적 지원의 필요성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가 낮았던 비경제적 지원에도 높은 필요성을 드러냈다.

지원사업 신청 시 ▲지원서류작성 ▲과다한 행정업무 ▲문화예술 특성 반영 미흡 ▲높은 경쟁률 ▲지원기관의 문화예술 특성에 대한 이해 부족 ▲엄격한 규정 준수 등 거의 모든 내용에 대해 어려움을 호소했다. 덧붙여 경제적 성과가 우수한 조직의 경우 사회적 성과가 미흡한 사례가 전무하지만 사회적 성과가 우수한 조직에서는 일부 경제적 성과가 미흡한 경우가 존재했다. 따라서 향후 문화예술 분야 사회적경제 조직에 필요한 사항으로 특화된 금융ㆍ투자 확대, 특화된 사회적경제 기준 마련을 높게 지적했다.

발표자 (주)메이븐스퀘어 조재현 이사는 수요자 관점에서 해당 분야의 수요 연구가 수반되어야 한다는 점을 과제로 남겼다.

▲ 서울예술대학 이무열 교수가 '기업 활동에서 생성된 욕구와 인사이트'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라이프인

이어서 '기업 활동에서 생성된 욕구와 인사이트' 발제를 맡은 서울예술대학 이무열 교수는 "사회적경제가 제조업 중심으로 되어있다. 사회적경제 지원정책이나 평가 기준을 문화예술 사회적경제에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며 "예술가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과 수익성을 목적을 목적으로 하는 조직을 구분해야 한다. 또한 기업 내에서 사회적 가치 실현의 영역의 세분화, 숙련도에 따른 개별적인 정책과 평가지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후 발표는 ▲지역형-협동조합 꿈꾸는 문화놀이터 뜻 ▲프랜차이즈형-(주)히든북 ▲블루오션형-안산팝오케스트라 ▲플랫폼형-주식회사 공공공간 등의 국내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사례발표와 함께 ▲프랑스 꽁빠냐쥬(Geiq Théâtre Compagnonnage) ▲영국 콕핏 아츠(Cockpit Arts) ▲벨기에 스마트협동조합(SMart) ▲미국 스노우시티아트(Snow City Arts) ▲캐나다 아트스케이프(Artscape) ▲호주 스튜디오에이(Studio A) 해외 문화예술 사회적경제조직 우수사례 연구조사 발표가 이어졌다.

이번 공유회를 주관한 예술경영지원센터는 2006년 예술현장의 자생력 제고라는 미션을 가지고 공연예술, 미술 영역에 대해 시장의 활성화 기반조성, 해외시장 진출 특히 예술경제와 관련해 문화예술사회적기업에 대한 지원에 힘썼다.

▲ (재)예술경영지원센터 김도일 대표가 인사말을 전하고 있다.  ⓒ라이프인

(재)예술경영지원센터 김도일 대표는 "문화예술 전반의 사회적 성과 또는 활동 성과에 대한 기준들이 불합리 했다. 더불어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얻어지는 예술적 가치, 사회적 가치, 경제적 가치에 대한 이해가 명확히 설명되지 못한 부분이 있었다"며 "이번 공유회 결과를 국가기관 및 정부산하 지자체에 공유하여 문화예술의 사회적 가치 평가 지표 개발 사업에 보탬이 되고 문화예술경제 영역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실태 및 지원방향'에 대한 보고서는 3월 중으로 예술경영지원센터 홈페이지에 업로드 될 예정이다.

라이프인 열린인터뷰 독점기사는 후원독자만 볼 수 있습니다.
후원독자분들은 로그인을 하시면 독점기사를 바로 볼 수 있습니다.

후원독자가 아닌 분들은 이번 기회에 라이프인에 후원을 해보세요.
독립언론을 함께 만드는 자부심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요기사
인기기사
  • (07317)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로62길 1, 1층
  • 제호 : 라이프인
  • 법인명 : 라이프인 사회적협동조합
  • 사업자등록번호 : 544-82-00132
  • 대표자 : 김찬호
  • 대표메일 : lifein7070@gmail.com
  • 대표전화 : 070-4705-7070
  • 팩스 : 070-4705-7077
  • 등록번호 : 서울 아 04445
  • 등록일 : 2017-04-03
  • 발행일 : 2017-04-24
  • 발행인 : 김찬호
  • 편집인 : 이진백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소연
  • 라이프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라이프인.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